CS 잡지식
DTO에는 2종류가 있다(Feat. RequestDTO, ResponseDTO)
JIN_YOUNG _KIM
2023. 5. 4. 11:49
API 개발 시에는 항상 DTO를 2개로 만들어서 개발을 하자!!!!
RequestDTO : [클라이언트]에서 API를 호출할 때 필요한 스펙
ResponseDTO : [서버]에서 반환하는 [API 결과 스펙]
EX) 시나리오 : 이름(name)과 나이(age)를 입력해서 API를 호출하면, 서버에서 그 사람의 소속 대학(university)를 반환하
는 API가 있다고 하자.
1] 클라이언트가 API 호출 시, 필요한 API 스펙
{
"name" : "jin young"
"age" : "20"
}
2] 서버의 API 결과 스펙
{
"university" : "DONG-A"
}
-> 1]에서 클라이언트가 이름(name)과 나이(age)를 보내면, 서버에서 그 정보를 객체(DTO)로 받아야 한다.
(Spring, JPA를 사용하기에 객체 형태로 보내야 하는 것이지, 모든 플랫폼에서 그러는 것은 절대 아님)
이러한 DTO를 RequestDTO라고 한다.
class RequestDTO{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 서버에서 이름(name)과 나이(age)를 가지고 소속대학(university)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을 할 때에도 객체(DTO)
형태로 보내야 한다.
Class ResponseDTO{
private String universi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