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1.1 : 현재 가장 많이 사용 중인 HTTP 버전
(크롬은 이미 UDP 기반의 HTTP/3.0을 쓰고 있다)
HTTP 특징
1]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2]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연결성
-> 상태(Stateful) 유지 프로토콜 : 중간에 다른 서버로 바뀌면 안 된다는 약속(만약 바꾸게 되면 중간에 다른 서버로 바뀔 때마다 그 서버에게 상태 정보를 다 전달해야 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 : 중간에 얼마든지 다른 서버로 바뀌어도 된다.(애초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할 때 HTTP 요청에 서버가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담아서 보낸다. 고로, 서버가 중간에 셧다운이 되어도 서버가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를 담은 해당 요청을 다른 서버에게 보내어 처리하게 만들면 된다.)
3] HTTP 메세지
4] 단순함, 확장 가능함
*모든 것을 무상태로 설계할 수는 없다.
EX) 로그인 : 로그인했다는 상태를 서버에 유지해야 함
-> 상태 유지는 최소한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무상태의 단점 : 데이터를 너무 많이 보낸다. ㅠㅠㅠ
'CS 과목(CS科目) > 네트워크(ネットワーク)'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메서드(PUT vs POST) (0) | 2024.12.26 |
---|---|
비연결성,Connectionless(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0) | 2024.12.26 |
TCP/UDP(모든 웹 개발자를 위한 HTTP) (0) | 2024.12.25 |
SSL Protocol의 구체적 동작 방식 (0) | 2023.06.30 |
SSL Protocol의 요약본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