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script Feat. Code Factory https://www.miyazaki-city.tourism.or.jp/spot/10137 鬼の洗濯板宮崎のパワースポット青島をとりまく「鬼の洗濯板」は大昔に海面下にあった岩が地質変動によって水面上に現れ、波や海水に浸食されて現在のような形ができ上がりました。 青島から南にwww.miyazaki-city.tourism.or.jp /** * 변수(variable) 선언 * * 1) var -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고 함(let,const로 전부 대체되었다고 함) * -> 레거시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어서 이해하고는 있어야 됨. * -> 그리고 var의 어떤 점 때문에 let,const로 대체되었는 지도 알아야 함. * 2) let * 3) const */// varvar name='코드 팩터리';consol.. 더보기 今勉 2025/4/3(木)■ localhost == 127.0.0.1 Q. 타입 스크립트는 조건문 안에 값이 있으면 참/거짓을 반환하도록 설정되 있는 거야? 좀 더 기본적인 문법 표현은 없어? A. 네, TypeScript(혹은 JavaScript)에서는 **조건문(if)**에서 값을 사용할 때, 그 값이 **참(true) 또는 거짓(false)**로 평가됩니다. 이 동작은 Truthy와 Falsy 개념에 기반합니다. 다만, 기본적인 문법 표현을 원하신다면, 조건문에 사용할 수 있는 명시적인 비교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Truthy와 Falsy JavaScript와 TypeScript에서는 Falsy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들은 모두 Truthy로 간주됩니다. 그래서 조건문 내에서 변수나 값을 직접 사용.. 더보기 JOIN 테이블이 만들어 지는 순서 이 SQL 문에서 조인과 WHERE 절의 필터링 순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쿼리 최적화 엔진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인 SQL 실행 순서를 기준으로 예제 SQL문을 가지고 설명할게.select e.id,e.name,e.position from company.employee as e,company.project as pwhere p.id=2002 and p.leader_id=e.id; 🔍 SQL 실행 순서SQL의 논리적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아:FROM 절: 테이블을 결정 (company.employee, company.project)WHERE 절: 필터링 수행SELECT 절: 필요한 컬럼 선택✨ 이 쿼리에서 실행 순서 분석1. FROM 절 (명시적 조인이 아닌 암시적 조인)FROM company.emplo.. 더보기 JOIN 테이블에 대한 UPDATE문 동작 원리 1. 예제 테이블 준비employees (직원 정보) 테이블id name salary1홍길동500만원2김철수550만원3이영희600만원projects (프로젝트 정보) 테이블project_id employee_id status1011진행 중1021진행 중1032진행 중1043완료됨위 테이블에서 employees와 projects를 JOIN해서 진행 중(status = '진행 중')인 직원들의 급여를 100만 원 올리는 UPDATE 쿼리를 실행한다고 해보자.2. 문제의 쿼리UPDATE employees eJOIN projects p ON e.id = p.employee_idSET e.salary = e.salary + 100000WHERE p.status = '진행 중';이 UPDATE 문이 실행되면 JOI.. 더보기 create database vs create schema CREATE DATABASE와 CREATE SCHEMA의 차이점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1️⃣ 일반적인 차이점구분 CREATE DATABASE vs CREATE SCHEMA개념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생성논리적인 네임스페이스(스키마) 생성사용 목적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때기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논리적인 그룹을 만들 때적용 범위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단위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관리권한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는 권한 필요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사용 가H2 데이터베이스에서는?H2에서는 CREATE DATABASE 명령을 지원하지 않습니다.스키마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처럼 사용CREATE SCHEMA company;SET SCHEMA company;CREATE T.. 더보기 SQL은 tuple의 중복을 허락한다! 엥??? relational data model에서의 implicit constraints에서 분명히 "tuple"은 중복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디??일단 SQL이 어떻게 tuple의 중복을 허락하는 지 예시로 살펴보자. 📌 예제아래 예제는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번 삽입하고, 중복이 허용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1️⃣ 테이블 생성CREATE TABLE employees ( id INT, // 이 column을 Pk로 명시적 설정하지 않음을 기억하자 name VARCHAR(50), department VARCHAR(50));2️⃣ 중복 데이터 삽입INSERT INTO employees (id, name, department) VALUES (1, 'Alice', 'HR');INSER.. 더보기 constraints(Feat. implicit constraints,explicit constraints) constraints : relational database의 relation들이 항상/무조건 지켜줘야 하는 제약사항. constraints는 크게 implicit constraints(내포된/묵시적 제약사항)와 explicit constraints(명시적 제약사항)로 나뉜다. implicit constraintsrelational data model 자체가 가지는 constraints로써 아래 2가지 예시가 있다. 1] relation은 중복되는 tuple을 가질 수 없다. 2] relation 내에 같은 이름의 attribute를 가질 수 없다. explicit constraints( schema-based constraints )주로 DDL을 통해 Schema에 직접 명시할 수 있는 constra.. 더보기 key(Feat. superKey, candidate key, foreign key) super key : relation에서 tuple을 unique하게 식별할 수 있는 attribute SET . candidate key : super key 중 어느 한 attribute라도 제거하면 unique하게 tuple을 식별할 수 있는 attribute set. primary key : candidate key 중 실제로 선택된 key. unique key(alternative key) : primary key가 아닌 candidate key.foreign key : 다른 relation의 Primary Key를 참조하는 attribute Set 더보기 이전 1 2 3 4 ··· 7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