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깨어 있는 동안에는 아래의 3가지를 한다.
1] 생각 : 시각/청각 등. 수동적 생각과 능동적 생각으로 나뉜다.
ex) 유튜브 보기-> 이때 하는 생각은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능동적 생각이 아닌 할려고 하지도 않았고 하고 싶지 않은데도 침투적으로 떠오르는 수동적 생각이다.
2] 느낌 : 오감, 내수용체 감각
3] 행동 : 몸으로 하는 것(자발적인 정신 활동도 행동에 속함) -> 행동은 수동적일 수가 없다. 전부 능동적인 것이다.
생각 vs 느낌,행동
생각은 과거/현재/미래를 오갈 수 있다.
느낌,행동은 현재에만 실존한다.
인간은 의식이 존재할 때 아래 3가지의 상태 중 1개에 항상 속함
1] 생각만 하기(수동적)
2] 딴 생각하면서 과 행동하기(수동적 + 능동적)
-> 공부하면서 음악 듣기, 운전하면서 음악 듣기, 밥 먹으면서 유튜브 보기 등
3] 생각없이 행동하기(능동적)
생각과 행동의 관계
결론 : 생각이 많아지면 행동이 줄어 들고, 행동이 많아지면 생각이 줄어든다.
생각과 능력의 관계
결론 : 능력은 수동적인 생각으로는 절대 만들어 지지 않는다.
오로지 능독적인 생각과 [행동]에 의해서만 길러 진다.
능력을 기르는 2가지 방법
1] 능동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반복해서 하기 -> 경험과 능력 누적
2] 예상치 못한 상황에 [행동]으로 대처하기 -> 경험 능력 누적
Solution : 수동적 생각보다 능동적 행동(능동적 생각 포함)을 선택하기
주의 : 내 방, 침대, 의자, 집과 같이 편안한 장소에서는 수동적 생각이 지배적이다.
집 밖 등의 내가 능독적 행동을 할 수밖에 없는 장소로 나가야 한다.
그러나 수동적 생각이 너무 빠져 있는 경우 꼼짝을 할 수가 없다. 이런 경우 방법은 아래와 같다.
수동적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전속력으로 달리거나 계단을 뛰자.
이때 수동적인 생각은 확실히 줄어 들지만 완전히 벗어 날 수는 없다.
고로, 그 이후에 내가 원하는 행동(능동적 생각 포함)을 행동을 해야 한다.
내가 원하는 행동을 하는 방법 : 원/쉽/행/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