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서, 자료형과 데이터 범위가 있다.
고로, 함수를 작성할 때 아래의 pre-condition에 주의하여 함수를 작성하면, 에러를 줄일 수가 있다.
pre - condition
1. 함수의 매개 변수로 들어 오는 데이터의 자료형이 무엇인지
2. 매개 변수 데이터의 범위를 파악하여 1에서 정한 자료형이 그 범위를 포함하는 지!
3. 함수 내부의 결과값들이 최악의 경우, 데이터 범위가 어디까지 가는 지!
'알고리즘(アルゴリズム) > 알고리즘 이모저모(アルゴリズムの緒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적 할당 VS 동적 할당 - 메모리 교환 (0) | 2023.01.29 |
---|---|
백준 11401번 ( 합동식 ) (0) | 2023.01.29 |
합동식(modular)을 왜 쓰는 걸까??? (0) | 2023.01.28 |
재귀함수 -> 반복문 : stack , queue 자료구조를 적극 활용하자!!! (1) | 2023.01.26 |
고정된 데이터들의 탐색 vs 회전하는 데이터들의 탐색 (2) | 2023.01.26 |